• 보건복지부,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출범
  • AI로 더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나섰다

  • 보건복지부는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복지 및 돌봄 분야를 혁신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8일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TF)'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같은 날 오후 2시에는 서울에서 이스란 제1차관 주재로 제1차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등 유관기관의 주요 관계자들이 함께 참석했다.

    추진단은 AI 시대에 발맞춰 복지·돌봄 분야의 근본적인 혁신 방안을 논의하고 정책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그동안의 디지털 돌봄 사업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며, AI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한 혁신 방안을 집중적으로 모색한다. 단기적으로 즉시 시행 가능한 과제부터 중장기적인 국가 전략까지 폭넓게 다룰 예정이다.

    추진단은 보건복지부 제1차관을 단장으로, 총 네 개의 작업반으로 구성되었다. '기획총괄반'은 로드맵 수립과 법·제도 개선을 총괄하며, '복지행정·데이터 혁신반'은 AI를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서비스 추천 시스템을 구축한다. 

    '돌봄기술혁신반'은 돌봄 기술 R&D 투자 및 상용화를 지원하며, 'AI 혁신 포럼반'은 적정 기술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사회적 논의를 이끈다.

    이스란 제1차관은 이번 추진단 출범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현재의 사회안전망을 누구도 빠져나갈 수 없는 '사회안전매트'로 더욱 촘촘히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되, 소외 없는 균형 잡힌 접근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고 덧붙였다. 추진단은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마련하여 내년 상반기 중 발표할 예정이다.
  • 글쓴날 : [25-08-11 09:38]
    • 김호중 기자[gombury@gmail.com]
    • 다른기사보기 김호중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