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하는 어르신 1000만명 시대…생활비가 가장 큰 이유
  • 5세부터 79세까지의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사상 처음 1000만명을 넘어섰다. 고령층 약 70%가 앞으로도 계속 일하기를 원했으며, 주된 이유는 생활비 마련이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고령층 인구는 1644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만4000명 증가했다. 이 가운데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1001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만8000명 늘어나, 2005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1000만명대를 기록했다.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34만4000명 증가했으며,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0.5%포인트 상승해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직업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와 서비스 종사자(14.5%) 비중이 높았다. 반면 관리자(2.1%)와 사무 종사자(8.3%) 비율은 낮았다.

    고령층의 절반 이상이 연금을 받고 있지만 월평균 수령액은 1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기준 고령층 연금 수령자는 850만2000명(51.7%)이었으며, 월평균 수령액은 86만원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노동시장에 더 오래 머무르려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향후에도 일하기를 희망하는 고령층은 1142만1000명으로 전체의 69.4%를 차지했다. 이들의 희망 근로 연령은 평균 73.4세로, 전년보다 0.1세 상승하며 2011년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근로 희망 이유는 생활비 보탬(54.4%)이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36.1%), 무료함 해소(4.0%), 사회적 필요(3.1%), 건강 유지(2.3%) 순이었다. 희망 월급 수준은 300만원 이상이 21.5%로 가장 많았고, 200만~250만원 미만이 19.4%를 차지했다.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선 것은 고령사회에서의 노동시장 구조 변화를 상징하는 지표로, 향후 노인 일자리 정책 방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글쓴날 : [25-08-11 23:23]
    • 강태훈 기자[tommy7646@gmail.com]
    • 다른기사보기 강태훈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