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24곳 최종 선정
  • 돌봄 인력난 해소 기대...2026년부터 시범사업, 유학생 유치부터 취업까지 체계적 관리

  • 법무부와 보건복지부가 국내 돌봄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24개 대학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제도는 유학생 유치부터 학위 취득, 자격 취득, 그리고 취업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범사업이다.

    전국 24개 대학, 시범사업 참여

    지난 3월 발표된 계획에 따라, 법무부와 복지부는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선정위원회를 통해 전국 13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추천한 대학들을 심사했다. 그 결과, 총 24개 대학이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으로 지정됐다. 이번 선정에는 대구, 대전, 세종, 강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자체가 참여했다.

    2026년 1학기부터 본격 운영

    선정된 24개 대학은 2026년부터 2027년까지 2년간 시범사업을 운영한다. 이 기간 동안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 전담학과를 개설해 요양보호사 양성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법무부와 보건복지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맞춤형 한국어 교육을 포함한 요양보호사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이들 대학은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명칭을 사용해 2026학년도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다.

    파격적인 지원, 유학생 유입 기대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대학과 유학생에게는 다양한 혜택이 부여된다. 대학은 법무부의 조기적응 프로그램이나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기관 선정 시 우대된다. 그리고 유학생에게는 비자 발급을 위한 재정 요건이 완화되어, 유학을 희망하는 외국인들의 진입 장벽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지역사회에 필요한 요양보호사를 지역대학이 직접 양성함으로써 돌봄 인력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요양보호사 인력 부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 제도는 안정적인 인력 확보 방안이 될 수 있다"며, "돌봄 유휴인력을 현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에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양 부처는 시범사업 기간 동안 교육 운영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과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식 사업으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 글쓴날 : [25-08-25 22:53]
    • 김호중 기자[gombury@gmail.com]
    • 다른기사보기 김호중 기자의 다른기사보기